SMALL

    볼 것들이 너무 많은 세상

    몇 년 전부터 '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자주 들려왔고 많은 책들이 출간된 것이 눈에 띄었다. 아마 당시에는 바쁘게 직장생활을 할 때라서 어떤 개념인지만 간단하게 이해하고 넘어갔었는데, 요즈음 블로그 운영에 대해서 공부 아닌 공부를 하다 보니 그 '큐레이션'이라는 것과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것이 비슷한 부분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에도 SNS, 뉴스, 블로그, 카페, 웹 사이트 등 웹 브라우저를 켜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순간부터 혹은 찾고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순간부터 쏟아지는 방대한 자료들에 혼란이 많이 왔었다. 예를 들어 최근에 검색해봤던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사이트맵 제출하는 방법"의 경우에도 검색어 선정부터 혼란이 있었고, 다양하게 검색해보니 검색 결과들은 많이 나오는데 하나하나 찾아다녀보면 하는 말이 조금씩 또는 크게 달라서 혼란이 심해졌었다. 누군가는 방법이 없다고 하고, 누군가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오래된 정보였다. 일일이 시도해보면서 몇 시간이 흐른 뒤에 어떻게 찾고 찾아낸 한 블로그에서 방법을 알아냈고, 그대로 따라 해서는 해결이 되지 않아 기존에 알고 있던 개념과 접목해서 다양한 경우의 수를 대입시켜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정보는 넘쳐나는데 그 정보의 신뢰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또 신뢰가 가는 정보들이라고 해도 누군가는 1 부터 3까지만 얘기하고 누군가는 2부터 7까지를 얘기하는 것처럼, 모아 보면 방대하지만 빠진 부분들이 하나 둘 있다는 점이 신경 쓰였다.

    예를 들어 '코딩'에 대해 공부한다고 하면, 수많은 무료 강의들이 유튜브, 블로그, 카페, 웹사이트 등에 있지만 처음부터 방대한 양에 겁을 먹기도 하고 어디에서 공부해야 제대로 배울 수 있을지 판단이 되지 않는 일이 생긴다. 그러다 보니 이런 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온라인 강의 사이트가 생겨나고 있고 더 문제가 커지는 것 같다. 홍보는 굉장히 매력적으로 하지만 막상 결제를 해야 내용을 볼 수 있으니 선뜻 결제할 엄두도 나지 않는다. 잘 짜인 무료 강의와 크게 다를 게 없어 보이기도 하고 살면서 이렇게 기대에 비해 결과나 내용물이 좋지 않았던 경험들이 쌓이다 보니 더 판단력이 떨어져 가는 것처럼 느껴진다. 

    물론 그런와중에도 누군가는 성공적으로 돈을 벌어가고, 누군가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를 만들어가기도 한다. 그렇게 '진짜'를 모든 사람들이 원하지만, 비즈니스라는 건, 마케팅이라는 건 어쩌면 그저 매력적으로 포장해서 보여주기만 하는 수단인 것 같아서 씁쓸하기도 하다. 

     

    콘텐츠 큐레이션의 정의

    큐레이터(Curator)라는 직업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전시 책임자를 의미한다. 예를들어 어떤 주제로 특정 기간 전시를 기획한다면 큐레이터가 주제 선정부터 작가 섭외 및 작품 선정 등 거의 모든 것들을 주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콘텐츠 큐레이션(Content Curation)은 이렇게 큐레이터에서 파생된 신조어이며, 웹 상에 넘쳐나는 정보들을 어떤 기준으로 분류하고 잘 정리해서 콘텐츠 큐레이터 자신이라는 필터를 거쳐 2차적인 저작물을 생산해내고 유통하는 사람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콘텐츠 큐레이션의 다양한 분야

    크게 보면 '정보'가 어떤 것이든 무관한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들어 여성의류 쇼핑몰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는 시기에 소비자들은 특정 콘셉트의 의류를 취급하는 쇼핑몰을 찾는 것에 대해 어려워할 수 있다. 실제 특정 쇼핑몰과 비슷한 콘셉트의 쇼핑몰이 어디인지 묻는 질문글을 네이버 지식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기억이 난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 앱 형태로 여성의류 쇼핑몰들의 상품들을 모아서 보여주는 서비스도 있었다. 아마 지금도 있을 것이다. 이것도 일종의 '정보'가 되는 것이고 분야라면 '전자상거래'라고 볼 수 있겠다.

    해외에서 데이팅 서비스, 뉴스 기사 서비스 등을 큐레이션하여 굉장히 많은 수익을 벌어들이는 사람들에 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페이스북도 어떻게 보면 시작이 학교 내 여학생들의 사진첩이었으니 큐레이션 서비스의 시초라고 볼 수 있겠다. 

     

    블로그? 위키피디아? 인플루언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라면 어떤 형태로든 다양하게 글을 쓸텐데 자연스럽게 검색을 통해 다른 사람의 생각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고, 방법적인 부분에서 다른 방법을 찾아본다거나 지식이 필요하다면 사전, 또는 뉴스 기사 등의 내용도 일부 인용하는 일이 많을 것이다. 

    블로그에 있어서 큐레이션이란 마치 위키피디아를 떠올리게 한다. '정보' 측면에서만 보면 굉장히 사전적으로 잘 정리가 되어 있으니까. 또 떠오르는 것은 '인플루언서'다. 블로그의 다른 면이라면 운영자의 '경험'에 기반한 콘텐츠들이 위키피디아 등과 약간 다를 수 있는데, 결국 콘텐츠 큐레이터는 정보를 가공해서 단순히 사전적으로 나열하면서 전달해주는 역할이라기보다, 블로거라면 그 블로거를 거쳐서 2차, 3차로 생산된 저작물의 개성, 요즘 많이 들리는 말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중에서 만약 '리뷰어'라면 소비자들이 궁금해할 만한 제품의 사용 후기를 직접 써보고 장점과 단점 등을 잘 정리해서 동영상, 글, 사진 등으로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인 것 같다.

     

     

    정보전달 측면에서의 문제점

    맨 윗 문단에서 언급했듯 흩어진 정보들을 한데 모아서 보여주는 것도 일종의 콘텐츠 큐레이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서 평소 궁금했던 것들을 검색해나가다 보니, 저작권과 관련된 의문이 생겼다. 예를들어 지금 글의 주제인 "큐레이션"에 대해 검색을 하다 보니 뉴스 기사, 책 인용문 등에 괜찮은 내용이 있었고 수십 가지 정보들을 취합하면 괜찮게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렇지만 그렇게 사전적으로 정보를 취합해서 나열하는 것에는 저작권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 또한 저작권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고 정리해서 보여준다면 그 조차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 저작권법에 관련해서 무슨 조항이 어떻고 하는 내용까지는 너무 방대하고 잘 알지도 못하기에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거나 필요할 때마다 직접 찾아보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국가법령정보센터

     

    국가법령정보센터

    화면 글자크게 글자기본 글자작게 검색영역 마우스 입력기 한글 1 2 3 4 5 6 7 8 9 0 Bksp ㅂ ㅈ ㄷ ㄱ ㅅ ㅛ ㅕ ㅑ ㅐ ㅔ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 @ # $ % ^ & * ( ) Bksp ㅃ ㅉ ㄸ ㄲ ㅆ ㅛ ㅕ ㅑ ㅒ ㅖ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영문 1 2 3 4 5 6 7 8 9 0 Bksp q w e r t y

    www.law.go.kr

    저작권 침해 행위의 경우에는 영리목적이 있느냐 여부와는 무관하게 처벌의 대상이 된다는 말이 있었다. 또한 뉴스 기사 하단에는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라는 문구가 거의 다 적혀있다. 웹 상에서 누군가가 쓴 글 또는 기자가 쓴 기사, 서점에서 판매하는 책 등 모든 경우에 저작자에게 개별적으로 연락을 취해서 인용해도 되는가를 확인하는 일은 상당히 수고로우면서 효율성도 떨어질 것이다. 일부 사례들에 대해 검색해봤지만 해외 작가에게 연락을 시도했고 작가는 허락했으나 출판사 측에서 거부했던 경우도 보였다. 하지만 반가운 소식도 있었는데 만약 책에 대해 1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인용하거나 그대로 사진을 찍어서 올리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책의 내용보다 책을 읽은 글쓴이의 생각이 주체가 된다면 저작권법 위배가 아니라는 글을 보았다. 말 그대로 한 두문장 정도를 내 생각을 주제로 쓰면서 인용하는 정도는 괜찮다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목적 자체가 책을 리뷰하는 것이라면 해당되지 않을 것 같다.

     

    계속해서 고민해봐야 할 문제

    시원하게 이런 문제에 대해 이런 방법이 있습니다! 라고 제시하고 싶지만, 법에 관련된 문제는 굉장히 조심스럽고 어렵다. 법에 대해 전문가라고 하는 변호사들도 약간 애매모호하게 답변하는 걸로 봐서 끝까지 가보지 않은 이상 누구도 확답을 할 수 없는 것인가? 하는 의문도 든다. 저작권법과 관련된 해결방법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고민해봐야 할 문제가 맞는 것 같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정보전달에 관한 측면에서 그런 문제가 굉장히 큰 것으로 보이고, 분야를 달리하면 그래도 저작권법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곳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품 리뷰, 사용기, 프로그램 소개, 프로그램 사용법 강의 등이 떠오른다. 콘텐츠 큐레이터 자신이 주체가 되는 경우라면 괜찮다는 생각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잘 알아봐야 나중에 골치 아픈 일이 없을 것이다.

    네이버 지식인 답변 하나를 첨부하는 것으로 마무리 지어야겠다.

    [네이버 지식iN] 유튜브 책리뷰 저작권에 대해서

     

    유튜브 책리뷰 저작권에 대해서

    안녕하세요유튜브를보면 책에대한 책리뷰 채널들이있는데요거기에대한 저작권법에대해 알고싶어서 질문드립니다.제가 유튜브를 시작하려고하는데책을 읽고 그에대한 바탕으로 유튜브 동영상을 제작하...

    kin.naver.com

    LIST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